정보

콜라겐, 정말 암을 악화시키는 걸까? 제대로 알아보기

AI커리어스 2024. 12. 11. 11:21
반응형
최근 "콜라겐이 암 악성화와 전이를 돕는다"는 기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특정 암 환경에서 콜라겐이
악성화와 전이에 관여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가 일반적인 콜라겐 섭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므로
정확한 정보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콜라겐은 피부 탄력과 건강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섭취하는 성분이기에,
이러한 뉴스는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고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콜라겐에 대한 논란과 사실,
그리고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콜라겐이 암과 연관된 연구의 내용은?


이번 논란의 중심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암 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Dysadherin)'

콜라겐의 분해와 재배치를 통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디스에드헤린은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에이즈-9(MMP9)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을 분해하고,

분해된 콜라겐은 암 연관섬유아세포(CAF)를 활성화시켜 콜라겐 섬유의 구조를 재조직합니다.

이 과정에서 암세포는 이동성과 침윤성을 높이게 되는 환경을 얻게 됩니다.

이 연구는 의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에 2022년 게재되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디스에드헤린은 암세포의 침윤성과 전이성을 높이는 단백질입니다.
2. 이 단백질은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티에이즈-9(MMP9)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합니다.
3. 암 연관섬유아세포(CAF)를 활성화하여 콜라겐을 재배치, 암세포 전이를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 연구는 암의 특정 미세환경에서 콜라겐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으로, 

건강한 일반인이 콜라겐을 섭취한다고 해서 암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닙니다.

 

https://life.gist.ac.kr/thumbnail/html/viewer/BBS_202206131032115423.hwp/document.html

 

광주

1. 논문명, 저자정보 - 저널명 : Theranostics (IF = 11.556, 6.07 % in Medicine, Research &  Experimental, JCR 2020)  - 논문명 : Dysadherin awankens mechanical forces and promotes colorectal  cancer progression  - 저자 정보 : 남정석

life.gist.ac.kr

 

2022년 연구와 2024년 연구의 차이점


1. 디스에드헤린의 특징과 임상적 중요성

  • 2022년 연구에서는 디스에드헤린이 세포 신호 전달을 통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규명했습니다.
  • 2024년 연구에서는 디스에드헤린이 정상 세포가 아닌 암세포에서만 발현되며,
  • 침윤성과 전이성이 강한 암일수록 발현 정도가 높다는 점을 추가로 밝혔습니다.

2. 세포외기질(ECM) 리모델링

  • 2022년에는 디스에드헤린이 MMP9 발현을 통해 ECM의 주요 구성 요소인 콜라겐을 분해하고 재배치한다는 메커니즘이 강조되었습니다.
  • 2024년에는 대장암 환자의 단일세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러한 ECM 리모델링이 암 미세환경을 조성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임상적 근거를 추가로 확인했습니다.

3. 인간화 마우스 실험 도입

  • 2022년 연구는 주로 세포와 ECM의 관계를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 2024년 연구는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도입해, 디스에드헤린/MMP9 신호 전달이 면역 억제와 혈관 신생을 통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4. 연구 의의

  • 2022년 연구는 디스에드헤린이 암 전이와 악성화에 관여하는 초기 메커니즘을 규명한 데 의의가 있었습니다.
  • 2024년 연구는 이를 기반으로 암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신규 메커니즘을 추가로 밝혀냈습니다.

그럼 콜라겐은 섭취하면 안 되는 걸까?


1. 콜라겐의 일반적인 작용

콜라겐은 피부, 관절, 뼈 건강에 중요한 단백질입니다. 

피부 관점에서 보면 콜라겐은 진피층의 주요 성분으로, 

탄력을 유지하고 주름을 줄이며 피부 수분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미용 목적으로 콜라겐 섭취를 선호합니다. 

특히 피부에서는 진피층의 주요 구성 요소로 작용하며,

세포 간 결합을 강화하고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콜라겐 보충제를 섭취한 후 피부 탄력이 12주 동안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며, 

주름 깊이가 감소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콜라겐이 피부 노화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관절에서는 연골의 탄력성을 유지하고, 뼈에서는 칼슘과 함께 강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우리가 섭취한 콜라겐은 대부분 소화 과정을 거쳐 작은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이 분해된 성분은 체내에서 다양한 조직의 재생과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2. 콜라겐 섭취와 암의 관계는?

위 연구는 암세포 주변 환경(종양 미세환경)에서 콜라겐이 암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입니다. 

종양 미세환경은 암세포를 둘러싼 세포외기질, 면역세포, 섬유아세포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며, 

이 환경은 암세포가 성장하고 전이하는 데 필요한 신호와 자원을 제공합니다. 

콜라겐은 이 환경에서 세포 이동성과 침윤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는 특정 암세포의 특수한 상황에서 관찰된 결과로,

콜라겐 섭취가 직접적으로 암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는 증거는 아닙니다. 🌎🌎🌎



3. 일반인의 콜라겐 섭취, 어떻게 해야 할까?

  • 균형 잡힌 식단 유지: 콜라겐 보충제를 과도하게 의존하기보다는 자연식품(생선, 닭고기, 곰탕 등)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더 건강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 건강 상태 고려: 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특정 질환이 우려되는 경우, 의사와 상담 후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콜라겐도 단백질의 일종이므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언론 보도의 문제점: 자극적인 제목과 불안 조성


이번 논란은 언론의 자극적인 제목 선정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연구의 내용을 단순히 "콜라겐이 암을 악화시킨다"고 일반화하는 것은

연구 결과의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해석입니다.

연구자들도 대중이 오해하지 않도록 명확히 설명할 필요가 있지만,

언론 역시 책임감을 가지고 보도해야 합니다. 📰📰📰

 

https://news.nate.com/view/20241211n02592

 

피부에 좋다는 '콜라겐'의 배신…"암 악성화와 전이 돕는다"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사회 - 뉴스 :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사진=이미지투데이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콜라겐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광

news.nate.com

https://www.wikitree.co.kr/articles/1008327

 

피부에 좋은 영양소로만 알았는데…“콜라겐, 암 악성화와 전이 촉진한다”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하는 신규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

www.wikitree.co.kr

 


결론: 콜라겐 섭취, 걱정하지 말고 현명하게 선택하자


콜라겐이 암과 관련된 연구 결과가 일부 발표되었지만,

이를 일반인의 콜라겐 섭취와 직접적으로 연결 짓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피부와 관절 건강을 위해 적정량의 콜라겐을 섭취하는 것은 여전히 유익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도한 보충제 섭취는 피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정보는 맥락을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특히, 정보를 접할 때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예: 학술 논문, 공신력 있는 기관의 보고서)를 확인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정보에 휘둘리지 말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길 바랍니다. 😊😊😊

728x90